개오름에서 조망한 봄풍경-제주관광-
지난주 송당 민오름과 비치미오름 탐방에 이어 금주(4.23)에는 개오름을 다녀왔다.
한자로는 개악(蓋岳) 또는 견악(狗岳)이라고 하며,개오름은 동부산업도로를 따라 대천동 사거리를 지나 3km 정도 동쪽에 위치한다.
비치미에서 동남쪽으로 1km정도에 위치한 부채꼴 모양이다. 이 오름은 행정구역상 표선면 성읍 2리에 속하고, 표고 345m, 비고 130m로 높이 솟아있는 원추형이다.
북서쪽에 위친한 비치미오름에서 조망하면 중심잡힌 원추형으로 보인다
개오름은 백약이 오름에서 보면 개 한 마리가 먼 하늘을 바라보며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한자로는 구악(拘岳)으로 표기하며 마을사람들은 오름 모양이 밥그릇 뚜껑을 닮았다고 한다.
옛 지도에는 蓋岳(개악)이라고 표기돼 있는데, 이에 따라 오름모양이 蓋(개) 즉, 밥그릇 뚜껑, 혹은 양산처럼 생겼다는 풀이가 된다.
.개오름 정상에서 바라본 비치미 오름 분화구
목장너머 비치미오름과 큰돌리미오름 너머로 민오름이 이쁘다
큰돌리미오름너머 송당 민오름
민오름기슭에는 이승만 별장이 있다
백약이오름과 왼쪽으로 좌보미오름이 보인다
정상에서 바라본 비치미 오름의 굼부리가 아름답다
개오름정상 삼각봉에서 조망한 좌보미오름과 백약이오름
개오름을 올라가다가 취나물을 --
비빔밥으로 최고다
저멀리 성불오름이 보인다
목장너머로 보인는 성불오름과 따라비오름(왼쪽)
비치미오름 기슭에 자라잡은 산소에는 철쭉이 봉우리를 틔우고 있다
비치미오름 기슭에 위치한 묘
개오름 비석
公諱光河 本 光山入導先祖禮附議都柒領 諱胤祖十六代孫也
공휘광하본광산입도선조예부의도칠령 휘윤(자손윤,잇다)조십육대손야
공의 이름은 광하로 광산 입도선조 예부의도칠령의 윤조의 16대손이다
宣略將軍忠武衛副司果 諱致鎔八代孫也
선략장군충무위(지킬)부사과 휘치용팔대손야 그리고 선략장군충무위부사를 지낸 치용의 8대손이다
留鄕別監諱載儉子也유향별감휘재검자야 또한 유향별감을 지낸 재검의 아들이다
配軍威吳氏諱始原女生二男二女長曰成海娶軍威吳氏諱士斌(빛날)女未生子女 故
배군위오씨휘시원여생이남이녀장왈성해취군위오씨휘사빈(빛날)여미생자녀 고
배우자는 군위오씨인 시원의 딸로 2남이녀를 두었으며, 장자의 이름은 성해고 군위오씨 사빈의 딸과 결혼, 자녀가 없다.
又娶軍威吳氏諱 鍾儉女生二男一女乙生無嗣故以親弟之子洪宝立系
우취군위오씨휘 종검여생이남일녀을생무사(상속자)고이친제지자홍보립계
또 군위오씨인 종검의 딸과사이에 2남1녀를 두었으나, 자식이 없어서 친동생의 아들 홍보를 상속자로 세웠다
次庚龍有二子長洪珍有子昌樹次洪宝出系
차경룡유이자장홍진유자창수차홍보출계 차남 경룡은 2아들을 두었으며, 장남 홍진이 아들 창수와 홍보를 두었다
次曰成浩娶軍威吳氏諱益恒女生二男七女長癸弘無嗣故以親弟之子泰華立系有子榮冠榮建
차왈성호취군위오씨휘익항여생이남칠녀장계홍무사고이친제지자태화입계유자영관영건
다음으로 성호가 군위오씨인 익항의 여식과 결혼하여 2남7녀를 두었고 장남 계홍은 자식이 없어 친동생의 아들 태화를 상속자로 세웠으며 아들 영관 영건 이 있다
次丙弘有三子長景夫有子昌倫仲泰華出系季(막내, 끝)泰殷有子昌景 餘不記 噫
차병홍유삼자장경부유자창륜중태화출계계(막내, 끝)태은유자창경 여불기 희
다음으로 유홍은 세아들을 두었으며 장자 경부가 아들 창륜을 가운데 태화, 그리고 막내 태은이 아들 창경을 두었다
여불기 애통하다
公忌正月十二日墓城邑上境盖岳上壬作原공기정월십이일묘성읍상경개악상임작원
공은 정월십이일 사망했으며 묘지는 성읍내 개악(개오름)의 북북서(11시)방향에 만들었다
配墓在 表善上境赤岳南乾作 배묘재 표선상경적악남건작 배우자 묘지는 표선내 적악(붉은오름)남쪽 서북(10시)방향에 있다
後孫 位居 南元面泰興二里후손위거남원면태흥이리후손이 거주하는 곳은 남원면 태흥2리다
檀紀4313年 庚申 三月十九日 서기1980년 경신년3월19일
孫 庚龍 丙弘 獻竪 손 경룡 병홍 비석을 만들어 세우다
비치미 오름가기전 천미천에서--
앞에 있는 오름은 민오름
오름 남쪽 기슭의 숲으로 이어지는 계곡이 천미천 중류부에 해당한다.
천미천은 한라산 동북쪽 흙붉은오름에서 발원하여 산굼부리 지나서 개오름과 영주산 황토지를 끼고 돌아
성읍민속마을에서 하천리 바다로 흘러 간다.
천미천은 제주지역에서 흐르는 하천중 가장긴 하천을 형성한다.
유마(남색말)
총말(완전한 하얀색 말은 백마라고 함)
유마(남색말)과 총말
총말
기타 검정색말은 가라말, 솜털같이 하얀말은 백마, 빨간색은 적다말